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3-Tier
- WEB서버
- 힙
- Synology
- 카카오톡오픈빌더
- 카카오톡 오픈빌더
- 데이터베이스
- 2-tier
- BFS
- dfs
- 챗봇
- stack
- Apache Airflow
- 기기변경
- 카카오톡
- was서버
- 카카오톡챗봇
- Google Kubernetes Engine
- docker
- GKE
-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 웹아키텍처
- node.js
- kubernetes
- airflow
- GCP
- iOS로 이동
- Google Cloud Platform
- 백준
- Na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IT 지식/네트워크, 인프라 (1)
공부하는 밍

TCP/IP - TCP/IP란 IP 주소 체계를 따르며, TCP의 특성을 활용해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한다는 뜻 1) Transpot Layer (Layer 4) - endpoint(사용자) 간의 연결 생성 + 데이터 전송 현황 확인 (신뢰성) - TCP, UDP 2) Network Layer (Layer 3) - 라우팅 담당 (경로, 목적지) - IP TCP에 대해서 더 깊게 알아보기! - TCP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들의 기반이 된다. - TCP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들은 TCP의 3-way handshake를 거친 후 각 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 실시 - TCP에서 연결지향적인 특성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이 3-way handshake!! L4 Swi..
IT 지식/네트워크, 인프라
2021. 3. 11.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