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밍

[네트워크] TCP/IP와 L4 Switch 본문

IT 지식/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 TCP/IP와 L4 Switch

밍Z 2021. 3. 11. 10:31

TCP/IP
- TCP/IP란 IP 주소 체계를 따르며, TCP의 특성을 활용해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한다는 뜻

 

OSI 7계층 (출처 : https://velog.io/@devzunky/TIL-no.89-Network-The-7-Layers-of-the-OSI-Model)


1) Transpot Layer (Layer 4)
   - endpoint(사용자) 간의 연결 생성 + 데이터 전송 현황 확인 (신뢰성)
   - TCP, UDP 

2) Network Layer (Layer 3)
   - 라우팅 담당 (경로, 목적지)
   - IP

 

TCP에 대해서 더 깊게 알아보기!
- TCP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들의 기반이 된다.
- TCP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들은 TCP의 3-way handshake를 거친 후 각 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 실시
- TCP에서 연결지향적인 특성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이 3-way handshake!!

 

L4 Switch
- L4 스위치

 

L4 Switch의 주요 기능
1) 서버 로드밸런싱
2) 캐시 리다이렉션
3) 방화벽/VPN 로드밸런싱

# L4 스위칭 과정
   1,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를 입력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로컬 DNS 서버 -> 해당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로 쿼리를 날림.
      로컬 DNS 서버는 L4의 VIP 주소 획득)
   2. 로컬 DNS는 획득한 VIP 주소를 바탕으로 http 요청
   3. 로드밸런서는 최적의 내부 알고리즘 (라운드 로빈 등)으로 서버 선별, 요청 전송
   4. 대상 서버는 작업 결과를 다시 로드밸런서로 전송
   5. 로드밸런서는 전달받은 http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요청 처리완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