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ode.js
- 2-tier
- 카카오톡오픈빌더
- GCP
- 백준
- Apache Airflow
- airflow
- Google Kubernetes Engine
- BFS
- GKE
- Nas
- docker
- was서버
- 3-Tier
- 웹아키텍처
- kubernetes
- 카카오톡챗봇
- 챗봇
- Google Cloud Platform
- 기기변경
- 카카오톡
- WEB서버
- 데이터베이스
- 힙
-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 iOS로 이동
- 카카오톡 오픈빌더
- Synology
- dfs
- stack
- Today
- Total
공부하는 밍
[해결 완료] iOS로 이동 (안드로이드 to iOS 마이그레이션 앱) 연결 오류 해결 방법 본문
안녕하세요.
최근에 저는 십여년간 써오던 안드로이드를 버리고(...?) 아이폰으로 갈아탔습니다~!!
그런데... 가장 큰 문제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iOS는 안드로이드와 운영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쉽지 않다는 것... ㅇ.ㅇ

하지만... 다 방법은 있더라구요ㅎㅎㅎ
"iOS로 이동"이라는 안드로이드 앱을 기존 안드로이드 폰에 설치해주고, 두 핸드폰을 연결해주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된다고 하더라구요. (아이폰 초기 설정화면에서도 해당 앱을 설치하도록 가이드하고 있습니다. 애플 공식 앱이예요~~ :) )
그런데 저는 계속해서 두 핸드폰 간에 연결 오류가 났습니다.
아이폰 : "마이그레이션 할 수 없음"
안드로이드 : "iOS 기기를 찾을 수 없습니다"
뭐 이런 오류가 자꾸 나더라구요... 하...
제가 구글링을 좀 해보니 안드로이드에서 iOS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방식이 동일한 와이파이를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아이폰에서 테더링을 실행해서, 안드로이드에서 잡을 수 있는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연결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 때, 기존 안드로이드 폰의 설정이 중요한 키였습니다.
안드로이드 설정 > 연결 > Wi-Fi > 우측 상단의 고급 > 모바일 데이터로 전환을 반드시 OFF
하... 이거였습니다. 저를 약 3시간 동안 삽질하게 만든 친구가...ㅎㅎㅎㅎㅎ
제가 빨리 아이폰으로 갈아타고 싶은 마음에 위 옵션이 ON된 상태로 유심을 빼서 아이폰에다가 넣었는데, 위 옵션은 유심이 빠진 상태로는 ON/OFF 스위칭을 할 수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ON된 상태로 OFF 스위칭이 불가했던 것이었습니다. 다른 분들은 저처럼 삽질하지 마세요ㅠㅠㅠ (아이폰으로 갈아타신 많은 분들이 저것 때문에 삽질하게 되고, 마이그레이션을 포기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ㅠㅠㅠ)
정리
1. 기존 안드로이드 폰에서 유심을 빼기 전에 아래 설정을 먼저 해준다.
안드로이드 설정 > 연결 > Wi-Fi > 우측 상단의 고급 > 모바일 데이터로 전환 OFF
2. 안드로이드 폰에 iOS로 이동 앱을 다운로드
3. 유심을 빼서 아이폰으로 옮기고, 초기 세팅 화면에서 '안드로이드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진행
제가 직접 삽질하면서 경험한 내용이라, 다른 분들과 좀 다를 수도 있지만 혹시나 저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분들은 위 방법대로 진행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